FIMO

반응형

가치평가의 중요성

 

투자를 하려고 보면 많은 재무적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이는 곧 자산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를 산출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채권과 주식이 있다면 어떤 것에 투자해야 하는지는 채권과 주식 각각의 가치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모든 자산의 가치평가의 핵심은 자산이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며,

우리가 가격을 알고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비교 가능한 자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자산의 가치와 가격의 관계

 

 

현재 시장은 완전경쟁 시장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자산에 지불하는 가격을 그 자산의 본질적인 가치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의 시장가격과 본질적인 가치에는 일시적인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은 다양한 기업에 대해 연구와 분석을 하며

일시적으로 본질적인 가치보다 낮은 시장가격의 증권을 매수추천하고

본질적인 가치보다 높은 가격의 주식을 매도추천 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가치극대화

 

 

대부분의 경우에 개인이 투자대상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

개인의 자산가치를 극대화 하는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결정합니다.

 

오늘 100만원을 벌 수 있는 방법과 오늘 95만원을 얻을수 있는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우리는 당연하게 100만원을 벌 수 있는 방법을 택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간단한 상황은 현실에서는 찾기가 거의 불가능 합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0만원의 가치를 지닌 주식과 95만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채권중 하나를

 

공짜로 얻을 수 있다면 어떤 것을 택해야 할까요?

 

 

주식 가격에 비관적이라면 채권도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것입니다.

 

 

해답은 주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선택한다면 매도하여 채권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시의 투자안 선택은 두가지 점을 시사합니다.

 

1. 투자안의 선택은 위험선호나 미래에 대한 기대에 상관없이

  순수하게 가치극대화의 기준에만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은 자산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결국 우리는 자산 가치평가를 하기 위해서

현재 가격을 알 수 있는 비교자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치평가의 성공 여부는 유용한 정보가 풍부하게 존재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