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MO

반응형

시장지수와 시장지수화

 

우리가 투자를 하게 된다면 그 성과는 어디에 비교해야 할까?

 

이에 대한 대답은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번글에서는 시장지수와 무위험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무위험 수익률

 

우선 무위험수익률(Risk-Free Rate of Return; RF)이 대표적이다.

 

무위험 수익률이란 위험이 전혀 없는 보장된 수익률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투자기간을 가지는 국채 수익률에서

 

현재 인플레이션율을 제외한 수익률을 무위험 수익률이라고 칭합니다.

 

만약 현재 무위험 수익률이 2%라고 가정한다면

 

2%의 이하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투자안은 실행할 가치가 없습니다.

 

 

주가지수와 시장지수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를 갖는 것은

여러 가지 목적에서 볼 때 유용하다.

 

무위험 수익률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나

무위험 수익률을 말 그대로 위험이 전혀 없는 보장된 수익률이다.

즉, 최저의 수익률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는 그래서 세계 각국의 증권시장의 수익률을 우리의 포트폴리오의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 주가지수이다.

 

국가 지수
미국 DJI, S&P500, NASDAQ 150
일본 Nikkei, Topix
대한민국 KOSPI200, KOSDAQ150
독일 DAX
프랑스 CAC40
영국 FTSE-100, FTSE-ALL SHARE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극동 STOXX 50
중국 Hang Seng

 

위는 각 국가의 주가지수입니다.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방법 

 

주가지수는 구성하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존재합니다.

 

1. 가격가중지수

 

 

가격 가중지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들의 가격에 의해 가중치를 두는 방법입니다.

 

미국의 다우존스공업평균지수가 대표적입니다.

 

지수편입종목의 주가의 합을 동일종목의 수로 나눈 것으로 기업규모에 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등락률이 동일하더라도 주가가 높은 종목의 움직임이 낮은 종목보다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편입종목이 분할하면 그 분할종목이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고

 

다른 모든 종목의 영향이 약간 커지는 특징을 갖습니다.

 

현재 다우 존스 30의 종목중에 가장 가격이 높은 기업은 유나이티드 헬스입니다. 

 

현재는 유나이티드 헬스가 다우존스 30 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시가총액 가중방법

 

 

시가총액 가중방법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있는 각 기업의 시가총액에 비례해서 가중을 두는 방법입니다.

 

미국의 S&P500 지수가 대표적인 시가총액 가중방법을 사용하는 지수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이 이 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S&P 500 지수는 미국 주식시장의 동향을 가장 잘 대표하는 지수로 꼽힙니다.

 

 

3. 동일가중방법

 

 

동일가중방법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각 기업의 비중의 차이를 두지 않고 동일한 비중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여러 종목을 포함하고 있는 ETF에서 회사의 규모나 주가에 의한 비중의 차이를 두지 않고

 

동일한 비중으로 계산하는 방식의 ETF를 동일가중 ETF라고 합니다.

 

코스피 200 동일가중 지수는 이 방식을 사용하여 지수를 만듭니다.

 

 

다음에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