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그리고 감자
주식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회사가 유상증자를 발표하거나 무상증자를 발표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오늘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에 따른 주가 변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자란 무엇일까?
증자는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입니다.
회사는 부족한 자본금을 충당하기 위해서 '대출', '채권발행', '증자' 를 할 수 있습니다.
대출과 채권발행은 원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리스크가 동반됩니다.
하지만 '증자'는 주식을 발행하여 그에 인한 자본금의 증가이기 때문에 대출과 채권발행보다 적은 리스크로
자본금을 충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란 무엇일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
무상증자는 주식을 발행하여 기존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형식으로 자본금의 변동이 없습니다.
그래서 무상증자는 회사가 나누어주는 배당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회사가 돈을 잘 벌어서 남은 돈을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것과 비슷합니다.
유상증자는 주식을 발행하여 기존 주주에게 현금을 받고 나누어 주는 형식입니다.
유상증자는 세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1. 주주배정
2. 일반공모
3. 제 3자 배정
주로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일 경우는 장기적은 방향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일수 있습니다.
기업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주배정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경우에는 시가보다 낮은 주식이 시장에 풀리기 때문에
주식의 가치가 희석됩니다.
그래서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상증자의 원인?
유상증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회사가 자본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하는것입니다.
대게 회사들은 새로운 시설물에 대한 투자, 적자, 이자비용, 원금상환등에 대해 자본금을 사용합니다.
새로운 시설물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는 기업에 호재로 여겨지며 주가 또한 우상향 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업의 적자, 이자비용, 원금 상황을 하기 위한 유상증자는 회사가 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주주에게 손해를 끼치는 행위입니다.
최근에는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한 주가가 회사의 가치보다 많이 높아진 경우에 유상증자를 하여 자본금을 충당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가가 회사의 가치보다 많이 높다고 생각된다면 유상증자를 유의 하여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감자란 무엇일까?
감자란 회사가 자본금의 총액을 줄이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감자는 보통 이사회에서도 결정할 수 없을 만큼 기업에서 큰 행위입니다.
이익잉여금과 자본금을 적자로 인해 사용하여 잠식당했을때 결손을 메우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만약 보유중인 회사가 감자를 한다면 상당히 많은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자를 한다면 가지고 있는 주식이 일정비율로 감소하고 그에 따른 현금이나 현물이 대체입고 될것입니다.
주식의 유통수가 감소하여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상승할수도 있겠지만
회사의 운영이 잘못되어 자본금을 줄이기로 결정했다면
회사의 운영방식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장기적으로 우하향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