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MO

최신글 리스트 커버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29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3789.2 USD1.2528 mETH + 0.2047 ETH현 시점 투자 자산48,168.9608 AU ~ 341 USDT3,469.6404 aUSD Stability Pool이번 주 파밍 결과aUSD : 6.0142wMNT : 31.6343 (≈ $ 5.76)mETH : 0.0015 (≈ $ 4.14)oAU : 4080.6278Aurelius 투자복기이번 주도 지난 주와 유사한 수량을 파밍했다. 다만 이번 주에 추가로 40AU(≈ $0.284), 50wMNT를 에어드랍받았다. 예상한대로 AU의 가격이 프리세일 가격보다 떨어졌다. 현재 가격은 0.0071으로 30%정도 떨어졌다.  AU Staking Pool에서 일주일에 $15를 파밍한 셈인데, 일단 파밍하는 이자로 oA..
가상화폐
2024.09.29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22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3789.2 USD1.2528 mETH + 0.2047 ETH현 시점 투자 자산35,757.1913 AU ~ 379 USDT3,469.6404 aUSD Stability Pool이번 주 파밍 결과aUSD : 5.984wMNT : 33.7826mETH : 0.0015oAU : 4018 Aurelius 투자복기이번 주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서 자산의 한국 주식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산이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금리를 내려서 자산의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금리 하락은 가격 상승의 신호가 아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일시적 일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유념해야 한다. 이번 주에도 AU Staking Pool과 aUSD Stability Pool의 A..
가상화폐
2024.09.22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15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3789.2 USD1.2528 mETH + 0.2047 ETH투자 자산35,757.1913 AU ~ 379 USDT3,442.9477 aUSD Stability PoolAurelius 투자복기9월 11일 oAU의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에 ICHI pool에 투자했던 600달러를 회수 했다. 유동성을 제공했기 때문에 20076 oAU와 380aUSD를 수령했다. 현재가격으로 590불 정도 된다. 10불 정도 손실이 발생했다.  USDC의 Reward가 사라져서 9월 12일부로 레버리지를 끝내고 이를 aUSD로 변경하여 파밍하고 있다. 현재는 mETH의 Reward가 생겨서 mETH를 2배 레버리지로하여 리워드를 파밍하고 있다.   이제 oAU의 할인율은 40%로 늘어났다. AU..
가상화폐
2024.09.18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08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780.8 USDT1.2528 mETH + 0.2047 ETH3008.4 USDC투자 자산15,680.4086 AU600 AU/aUSD ICHI Single Deposit Pool42.4168 aUSD Stability PoolAurelius 투자복기현재 USDC의 Net Income은 + 1.08 + 4.12 - 2.63 = 2.57%이다. 3.24% 였던 저번주보다 0.67%가 감소한 양상이다. 앞으로 계속해서 감소할 예정이다. 현재 USDC는 평균적으로 4배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10%의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계속 파밍할 예정이다.  대략 2일을 파밍했을 때 7달러를 파밍할 수 있다. 20% 할인율로는 아직 AU를 행사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가상화폐
2024.09.18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06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780.8 USDT1.2528 mETH + 0.2047 ETH (3597USDT)3008.4 USDC투자 자산15,680.4086 AU600 AU/aUSD ICHI Single Deposit Pool30.2216 aUSD Stability PoolAurelius 투자복기Staking Pool에서 $2의 이자를 파밍했다. aUSD Ichi Pool에서는 대략 1.65$의 수익이 발생했으나 oAU로 파밍되기 때문에 AU 50% 할인 구매가 가능할 때 한번에 수령하여 실현 할 계획이다. AU의 가격이 언제 변동할지 모르기 때문에 이마저도 미정이다. Loop 수익률은 4wMNT이며 이는 3 aUSD로 스왑이 가능하다. 오늘 14시 30분에 Reward를 수령했기에 내일도 동일한 시..
가상화폐
2024.09.06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05

CEGA투자현황투자금 :0.1 ETH(8월 1일 ~ 8월 29일) = $3230.31 ETH + 1105.7339 USDT(8월 8일 ~ 9월 5일) = $2098.66총 투자금액 0.41 ETH + 1105.7339 USDT = 2421.6639최종잔고 : 0.3242 ETH + 0.1028 + 1153.4607 USDT = 0.427 ETH + 1153.4607 USDT = $2178.26투자 결과 : $243 손실CEGA란?CEGA라는 프로토콜은 고수익의 Vault 상품들이 존재한다. 원가 보장형 상품인 Shark Fin 그리고 위험 상품인 Dual Currency 등에 예치할 수 있다. Shark Fin은 원금 보장 및 보장 수익률이 존재한다. 현재는 4% 정도이다. 그리고 만기일에 기초자산의 가..
가상화폐
2024.09.06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04

Aurelius투자현황투자금 : 717 USDT + 63.8 USDT(oAU행사) = 780.8 USDT투자 자산7296 AU + 7343 AU = 14639 AU600 AU/aUSD ICHI Single Deposit Pool20 aUSD Stability PoolStaking Pool 투자복기오늘은 AU Staking Pool의 APR이 증가했다. AU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APR의 수익률이 조정된 것 같다. 또한 아우렐 내부의 수수료가 증가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다만 aUSD Ichi Staking Pool의 APR은 감소했는데 아마 100%이하로 내려가지 않을까 싶다.오늘 AU가격이 0.0106까지 떨어졌다. 프리세일 가격까지 떨어진 것을 미루어보아 에어드랍 물량을 덤핑하면 지금보다 가격이 더 떨..
가상화폐
2024.09.04

디파이 투자일지 - 20240903

AURELIUS Token(AU) AirdropAU에서 미루고 미루던 에어드랍을 진행한다. 이번 Aurelius의 에어드랍은 직접적으로 토큰을 클레임하는 것이 아니라 토큰에 점진적 할인율 베스팅이 있는 콜옵션 토큰을 에어드랍했다. 이는 기존의 덤핑을 막는것에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에어드랍 초기와 주요 거래소에 리스팅되지 않은 지금 유동성을 공급하는데 충분한 여유기간을 줄 것이다. AU가 한번에 풀리게 된다면 Au토큰의 가격이 내려가고 이는 빠르게 AU이 발행되고 이는 더 빠른 AU의 가격 희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상적으론 Week4에 모든 oAU를 AU으로 행사해야 할 것이다. 현재 AU 가격은 0.0125이며 이번주는 oAU의 할인율은 20%이다. AU를 20%희석해서 구매한다면 0..
가상화폐
2024.09.03

그렇다면 CBDC를 발행해야 할까?

디지털화폐 CBDC를 왜 발행할까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번역하자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이다. 간단하게 현금의 디지털화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금도 현금을 입금하면 은행 어플에서 전자적으로 저장되는데 이것도 디지 hiksang.tistory.com 이전글에서 CBDC에 대한 설명과 장단에 대해서 서술했다. 개인과 개인의 계약의 입장측면, 기업입장에서 CBDC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번 글은 정부의 관점에서 CBDC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중앙은행은 CBDC 도입 시기에 현금과 동일하게 발행할 것이다. 현금과 모든 기능이 동일하지만 도입 초기에 현금의 점유율을 넘어설 수 없을 것이다. 국민들은 디지털 현금의 특수성(예를 들어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는 상..
My opinion
2023.12.05

디지털화폐 CBDC를 왜 발행할까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번역하자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이다. 간단하게 현금의 디지털화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금도 현금을 입금하면 은행 어플에서 전자적으로 저장되는데 이것도 디지털화폐가 아니야?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은행에 입급한 실물화폐와 CBDC 모두 중앙은행에서 발행하고 가치또한 실물화폐와 CBDC 모두 액면가와 동일하다. 하지만 발행방법에 차이가 있는데 CBDC는 분산원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적으로 발행하고 실물화폐는 지금처럼 지폐 또는 동전의 형태로 발행된다. 다만 우리가 입급한 현금을 은행 어플 또는 계좌에서확인 가능한 것은 중앙은행이 발행한 현금을 통해 은행이 민간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CBDC가 도입된다면 중앙..
My opinion
2023.12.04